RSS 게시판 2.0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 /bbs/museum/1674/133454/artclView.do 2023-02-03 11:50:37.127 suesue ▣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 ◎ 크 기: 32.2x10.2x1269.4cm ◎ 시 대 : 1116년(예종 11년) ◎ 지정구분 : 보물◎ 지정(등록)일 : 2022. 12. 27. 대방광불화엄경 권88은 1권 1첩으로 고려 선종 4년인 1087년 고려사회에 들어온 ‘대방광불화엄경소’ 총 120권 목판 중 권88에 해당하는 불경이다. 재질은 닥종이, 판종은 목판본, 형식은 절첩장이다. 대방광불화엄경은 ‘화엄경’으로도 부르는데, 부처가 성도한 깨달음의 내용을 그대로 설법한 경전을 고려사 /bbs/museum/1674/102105/artclView.do 2021-05-06 14:36:23.113 suesue ▣ 고려사 (高麗史) ◎ 수 량 : 139권 75책 ◎ 크 기: 27.5×18.3cm ◎ 시 대 : 1613년(광해군 5) 간인, 17∼18세기 후인(後印)◎ 지정구분 : 보물 제2115-4호◎ 지정(등록)일 : 2021. 2. 17. 『고려사』는 정인지(鄭麟趾? 1396∼1478), 정창손(鄭昌孫, 1402∼1487) 등이 1451년(문종 1)에 기전체(紀傳體)로 찬진한 고려의 정사(正史)로서,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 2대 정사 중 하나이다. 고려시대 연구를 위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bbs/museum/1674/102104/artclView.do 2021-05-06 14:20:00.69 suesue ▣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 (新舊功臣相會題名之圖 屛風) ◎ 수 량 : 1좌(4폭) ◎ 시 대 : 조선시대 ◎ 지정구분 : 보물 제2080호 ◎ 지정(등록)일 : 2020. 10. 21 보물 제2080호 ‘신구공신상회제명지도 병풍’은 선조 연간(1567∼1608) 녹훈(錄勳)된 구공신(舊功臣) 및 신공신(新功臣)들이 1604년(선조 37) 11월 충훈부(忠勳府)에서 상회연(相會宴)을 진행한 장면을 그린 기록화이다. 당시 상회연에 대해서는 이항복(李恒福, 1556∼1618) 관북여지도 /bbs/museum/1674/102103/artclView.do 2021-05-06 14:14:42.373 suesue ▣ 관북여지도 (關北輿地圖) ◎ 수 량 : 1첩(13면) ◎ 시 대 : 1738(영조 14) ~ 1753년(영조 31) 사이 ◎ 지정구분 : 보물 제2061호 ◎ 지정(등록)일 : 2020. 2. 27 보물 제2061호 ‘관북여지도(關北輿地圖)’는 표기된 지리와 표현방식 등으로 보아 1738년(영조 14)~1753년(영조 31)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첩의 지도집으로, 조선시대 관북(關北) 지방인 함경도 마을과 군사적 요충지를 그린 것이다. ‘관북여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bbs/museum/1674/102099/artclView.do 2021-05-06 13:38:39.45 suesue 1면 32 x 46xm 2면29.7 x 47.7cm 3면 31.4 x 32.7cm 4면 30.4 x 32.9cm 5면29.9 x 46.3cm 6면30.8 x 38cm 7면30 x 21.1 cm 8면 31.2 x 30.5cm 9면 30.4 x 39cm 10면30 x 46cm 11면30.3 x 41.8 cm12면30 x 46.7 cm13면30.8 x 30.8 cm14면27.2 x 42.8cm ▣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金允謙 筆 嶺南紀行畵帖) ◎ 수 량 : 1점(14폭)◎ 크 양산 금조총 출토유물 일괄 /bbs/museum/1674/101868/artclView.do 2021-05-03 15:53:40.823 suesue 1. 금제 새다리 길이 2.8cm 발가락 길이 0.6cm 2. 금제 귀걸이 길이 9.4cm중심고리 직경 3.1cm너비 1.3cm 3. 금제 귀걸이 길이 7.2cm 중심고리 직경 3.0cm너비 1.0cm 4. 금제 팔찌 길이 7.6cm두께 0.5cm 5. 은제 허리띠 띠고리 1점, 띠꾸미개 30점, 띠끝장식 1점띠고리 길이 4.5cm 너비 3.5cm띠꾸미개 길이 6.9cm 너비 2.9cm띠끝장식 길이 11.2cm 너비 2.7cm 6. 청동제 자루솥 높이 10.3cm입지름 11.1cm손잡이 길이 11.1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bbs/museum/1674/51936/artclView.do 2018-05-01 14:01:40.393 yoojin95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 沈之伯 開國原從功臣錄券 ) ◎ 시 대 : 조선 (1397년) ◎ 재 질 : 종이에 목판활자◎ 크 기 : 30.5×135.0cm ◎ 지정구분 : 국보 제 69호 공신녹권은 왕조의 창업이나 국가적 중대사에 직·간접으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발급된 공신증명서이다. 개국원종공신이란 개국 의거에 직접 참여하지 못했으나 잠저 때부터 신변을 지켜주고 대업을 적극 권고한 공로가 있는 신하를 말한다. 개국원종공신녹권은 태조 원년(1392) 10월부터 6년(1397) 1 동궐도 /bbs/museum/1674/51934/artclView.do 2018-05-01 13:59:19.187 yoojin95 동궐도 ( 東闕圖 ) ◎ 시 대 : 조선 (1828-1830년) ◎ 재 질 : 비단에 채색 ◎ 크 기 : 16 폭 병풍 . 전체 274.0×578.2cm 각 폭 1-16 폭 274.0×35.0cm , 2-15 폭 274.0×36.3cm ◎ 지정구분 : 국보 제 249-2호 경복궁 동쪽에 위치한 궁궐, 즉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작품으로 거대한 궁궐과 산수가 어우러져 일대 장관을 보여주고 있다. 고려대학교박물관에도 동궐도가 있는데 고려대본 안중근의사 유묵 /bbs/museum/1674/51928/artclView.do 2018-05-01 13:52:17.2 yoojin95 안중근의사 유묵 ( 安重根義士 遺墨 ) 안중근 安重根 (1879-1910) ◎ 시 대 : 대한제국 (1910년) ◎ 재 질 : 종이에 묵서◎ 크 기 : 134.0×32.5cm◎ 지정구분 : 보물 제 569-6호 안중근의사가 1910년 3월 뤼순감옥에서 쓴 것이다. 안중근의사는 1910년 2월 14일부터 3월 26일 사형 전까지 약 40일간 200여 점의 유묵을 썼는데 이는 모두 일본인들의 요청에 의해서이다. 일본 자국의 최고지도자를 사살한 인물에게 필적을 요청하고 이를 기 조대비 사순칭경진하도 병풍 /bbs/museum/1674/51925/artclView.do 2018-05-01 13:36:31.533 yoojin95 조대비 사순청경진하도 병풍 ( 趙大妃四旬稱慶陳賀圖屛風 ) ◎ 시 대 : 조선 (1847년) ◎ 재 질 : 비단에 채색 ◎ 크 기 : 8 폭 병풍. 각 폭 140.0×56.0cm ◎ 지정구분 : 보물 제 732호 1847 년은 조선왕조 24 대 임금 헌종이 어머니인 왕대비 조씨가 40 세 되는 해이고, 이를 기념하여 정월 초하루에 헌종은 창덕궁의 인정전에 나아가 덕을 칭송하는 글, 사순을 축하하는 글, 옷감 선물 등을 조대비가 계신 곳으로 전달해 드리는 의식을 치렀다. 이에 헌종은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bbs/museum/1674/51916/artclView.do 2018-05-01 11:57:55.783 yoojin95 헌종가례진하도 병풍 ( 憲宗嘉禮陳賀圖屛風 ) ◎ 시 대 : 조선 (1844년) ◎ 재 질 : 비단에 채색◎ 크 기 : 8 폭 병풍 . 각 폭 115.0×51.0cm ◎ 지정구분 : 보물 제 733-1호 헌종 10년(1844) 조선왕조 제 24대 왕인 헌종이 효정왕후와 치른 가례를 기념하여 제작된 궁중기록화이다. 8세에 즉위한 헌종은 정비였던 효현왕후가 죽자 이듬해 10월 18일 홍재룡의 딸을 계비로 맞아들였다. 10월 22일에 경희궁 숭정전에서 교서를 반포하고 문무백 자수 초충도 병풍 /bbs/museum/1674/51912/artclView.do 2018-05-01 11:54:18.653 yoojin95 자수 초충도 병풍 ( 刺繡 草蟲圖 屛風 ) 전 傳 신사임당 申思任堂 · 申師任堂 · 申師姙堂 · 申媤姙堂 (1504-1551) 본 本 ◎ 시 대 : 조선 ◎ 재 질 : 목공단에 자수◎ 크 기 : 8 폭 병풍 . 각 폭 65.0×40.0cm ◎ 지정구분: 보물 제 595호 신사임당이 그린 초충도 그림을 본으로 하여 수 놓은 병풍이다 . 병풍의 구성내용과 소재는 다른 초충도 그림과 유사하나 표현이 더 정교하고 섬세하며 생동감이 있다 . 제 1폭은 오이넝쿨이 화면 왼쪽 토기 융기문 발 /bbs/museum/1674/51901/artclView.do 2018-05-01 11:41:42.637 yoojin95 토기 융기문 발 ( 土器 隆起文 鉢 ) ◎ 시 대 : 신석기시대 ◎ 재 질 : 토기 ◎ 크 기 : 높이 12.2cm, 입지름 16.2cm ◎ 지정구분 : 보물 제 597호 부산시 영도구 영선동패총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토기이다. 작은 주구(注口), 둥근 바닥, 적갈색 점토질의 태토, 융기문 장식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릇 몸체 상부 표면에 V자 형의 점토 띠를 연속해서 붙인 후 그 위에 새김문을 시문하여 장식효과를 내었다. 기원전 6,000-5,000년 경에 제작된 융기문 토기는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bbs/museum/1674/51899/artclView.do 2018-05-01 11:39:32.843 yoojin95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 ( 陶器馬頭飾角杯 ) ◎ 시 대 : 삼국 (5세기) ◎ 재 질 : 도기 ◎ 크 기 : 높이 14.4cm, 총길이 18.8cm ◎ 지정구분 : 보물 제 598호 부산시 동래구 복천동고분군 중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은 1969년부터 1972년까지 총 10기를 조사하였다.뿔잔은 제 7호분의 주곽 내부 가운데 벽 근처에서 한 쌍으로 출토되었다. 뿔잔이란 쇠뿔 모양으로 원통형 몸통에 끝이 뾰족한 형태의 용기로 액체를 따르는데 주로 사용하며 흔히 마상배 (馬上杯)라고도 쌍자총통 /bbs/museum/1674/51896/artclView.do 2018-05-01 11:37:14.21 yoojin95 쌍자총통 ( 雙字銃筒 )◎ 시 대 : 조선 (1583년) ◎ 재 질 : 철 ◎ 크 기 : 길이 52.5cm, 입지름 1.7cm, 손잡이 길이 6.0cm, 총신 길이 38.4 cm ◎ 지정구분 : 보물 제 599호 조선 중기에 사용하던 개인용 휴대무기의 일종이다. 총구에 화약과 실탄을 장전한 뒤 후미의 화약심지에 불씨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지화식화기이다. 쌍자총통은 선조대 (1567-1608)의 승자총통을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기존의 승자총통은 사격 이후 재장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 지자총통 /bbs/museum/1674/51885/artclView.do 2018-05-01 11:23:45.393 yoojin95 지자총통 ( 地字銃筒 ) ◎ 시 대 : 조선 (1557년) ◎ 재 질 : 철 ◎ 크 기 : 길이 89.0cm, 총구 바깥지름 17.2cm, 총구 안지름 10.5cm, 중량 87.0kg ◎ 지정구분 : 보물 제 863호 주철로 제작한 유통식 중화기로 포의 사정거리는 8, 9백보 (약 1km)이다. 명문에 의하면 “명종 12년(1557) 4월 김해도회소에서 주조된 지자포이며 무게는 일백사십사근육냥이고 감조관은 전 권관 이대윤 , 화포장은 김련”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도회란 염초 영산회상도 /bbs/museum/1674/51883/artclView.do 2018-05-01 11:19:39.687 yoojin95 영산회상도 ( 靈山會上圖 ) ◎ 시 대 : 조선 (1565년) ◎ 재 질 : 삼베에 먹과 채색 ◎ 크 기 : 227.0×188.5cm ◎ 지정구분 : 보물 제 1522호 붉은 바탕에 흰색 선묘로 여래와 다수의 성중 집회장면을 그린 석가여래설법도이다. 화면 최하단 중앙에 쓰여진 화기에 의하면 박풍산이라는 인물이 시주하여, 가정 44년 (1565) 화승 탄원이 그린 영산회도 즉 영산회 석가모니설법도인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불화는 16세기 전반까지는 주로 왕실 중심으로 발원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3 /bbs/museum/1674/51881/artclView.do 2018-05-01 11:15:10.08 yoojin95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 3(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三 ) ◎ 시 대 : 조선 (1422년) ◎ 재 질 : 감지에 금은니 ◎ 크 기 : 절첩 1 면 41.9×14.4cm ◎ 지정구분 : 보물 제 269-3 호 구마라집이 한역한 묘법연화경을 감지에 은니로 쓴 것으로 1422년(세종 4) 덕명 비구가 어머니의 극락왕생을 위해 발원하여 만든 총 7권 중 권 3에 해당된다. 나머지 사경 즉 권 1(보물 제 269호)과 권 7(보물 제 269-4호)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으며 권 2, 4, 의령보리사지금동여래입상 /bbs/museum/1674/51880/artclView.do 2018-05-01 11:10:36.88 yoojin95 의령보리사지금동여래입상 ( 宜寧菩提寺址金銅如來立像 ) ◎ 시 대 : 통일신라 (9세기) ◎ 재 질 : 금동 ◎ 크 기 : 높이 26.0cm, 어깨너비 5.0cm, 대좌높이 8.0cm, 대좌지름 8.5cm ◎ 지정구분: 보물 제 731호 1948년 경상남도 의령군 보리사터에서 출토된 금동여래입상으로 1981년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에 수장되었다. 현재 불상과 대좌만 있고, 광배는 없어졌다. 불상의 수인은 오른손을 내리고 왼손을 올려 좌우가 바뀐 시무외 여원인 (施無畏 與願印)이다. 얼 황리현명 청동북 /bbs/museum/1674/51879/artclView.do 2018-05-01 11:07:26.353 yoojin95 황리현명 청동북 ( 黃利縣銘 靑銅半子 ) ◎ 시 대 : 고려 (1085년) ◎ 재 질 : 청동 ◎ 크 기 : 지름 32.9cm, 측면 폭 8.3cm ◎ 지정구분: 보물 제 1810호 고려 선종 2년(1085), 지금의 경기도 여주 황리현의 호장 민씨 등에 의해 조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현존 기년명 있는 청동북 중 네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앞면에는 연과와 15개의 중판 연화문을 배치하여 당좌로 삼았고, 연화문 바깥으로 비운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