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 게시판 2.0 목조보살좌상 /bbs/museum/1676/133459/artclView.do 2023-02-03 13:40:53.28 suesue ▣ 목조보살좌상 ◎ 수 량 : 1점 ◎ 크 기 : 전체높이 50cm, 어깨너비 23cm, 무릎너비 33.5cm,◎ 시 대 : 조선시대◎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0호◎ 지정(등록)일 : 2012.10.30. 목조보살좌상은 허리부터 서서히 구부려진 자세에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고 왼손은 무릎 위에 두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중품하생(中品下生)의 수인을 취하였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고 무릎은 낮은 편이며, 양손은 별도로 제작하여 끼웠다. 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목조보 홍현주 필 산수도 /bbs/museum/1676/102202/artclView.do 2021-05-07 13:29:37.153 suesue ▣ 홍현주 필 산수도 ◎ 수 량 : 1점 ◎ 크 기 : 가로 33cm, 세로 26cm◎ 시 대 : 조선시대◎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3호◎ 지정(등록)일 : 2020.07.29 정약용(丁若鏞)의 그림으로 소개된 것이나 실상은 정조의 사위인 홍현주(洪顯周)의 소작이다. 화면의 우측 상단부에는 정약용이 직접 지어서 쓴 칠언절구(七言絶句)의 화제시(畵題詩)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軟?肥梧葉正舒 연한 떡갈과 기름진 오동의 잎은 막 펼치었는데此株枯木獨蕭疏 이 한 그루 고목만이 홀로 쓸쓸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bbs/museum/1676/102201/artclView.do 2021-05-07 13:25:41.577 suesue ▣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 수 량 : 1점 ◎ 크 기 : 가로 37.7cm, 세로 24.9cm (반곽 - 가로 25.4cm, 세로 19.6cm)◎ 시 대: 조선시대 1558년(명종 13)◎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3호◎ 지정(등록)일 : 2019.05.29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는 1270년(咸淳 6) 남송(南宋)의 고승 지반(志磐)이 물과 육지에 외로이 떠도는 영혼과 아귀(餓鬼)를 위로하고 구제하기 위해, 불법(佛法)을 강설하고 음식을 베푸는 불교의식인 수륙무차평등재(水陸無遮平 정선 필 청풍계지각 /bbs/museum/1676/102199/artclView.do 2021-05-07 13:20:46.143 suesue ▣ 정선 필 청풍계지각 ◎ 수 량 : 1점◎ 크 기 : 가로 43cm, 세로 29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2호◎ 지정(등록)일 : 2019.04.10 정선 필 청풍계지각 은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이 청풍계(淸風溪)의 풍경과 그 속에 자리 잡은 청풍지각(淸風池閣)을 표현한 진경산수화이다. 청풍계는 ‘맑은 바람이 부는 계곡’ 이란 의미로 서울 인왕산 기슭의 골짜기인 현재 종로구 청운동 일대를 말한다. 이 작품은 정선의 노년시절 무르익은 화법에 청풍지각을 중심으로 그려 이덕형 초상 초본 /bbs/museum/1676/102196/artclView.do 2021-05-07 13:17:51.867 suesue ▣ 이덕형 초상 초본 ◎ 수 량 : 1점 ◎ 크 기 : 가로 45.4cm, 세로 62.2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8호◎ 지정(등록)일 : 2019.04.10 이덕형 초상 초본 은 조선 중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 그려진 공신초상화이다. 한음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은 예조참판, 대제학, 병조판서를 거쳐 영의정 등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한 재상으로 오성 이항복과 함께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작품은 얼굴 방향이 왼쪽인 좌안칠분상(左顔七分像)으로 세밀하게 묘사된 얼굴, 해주도 병풍 /bbs/museum/1676/102193/artclView.do 2021-05-07 13:14:26.18 suesue ▣ 해주도 병풍 ◎ 수 량 : 1점 ◎ 크 기 : 가로 41cm, 세로 140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3호◎ 지정(등록)일 : 2017.12.06 해주도 병풍 은 경물의 묘사는 매우 세밀하고 정교하여 당시 최고 수준의 기량을 갖춘 화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기와집의 정연한 필선, 피마준과 점묘법 등을 통해 이것이 도화서 화원의 수준작임을 알 수 있다. 해주가 감영이었던 관계로 자비대령화원의 화사군관 파견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라 파악된다. 현재 10폭 내지 12폭의 전체구성에서 일부 동아대 명현초상 일괄 /bbs/museum/1676/102192/artclView.do 2021-05-07 13:10:27.707 suesue ▣ 동아대 명현초상 일괄 ◎ 수 량 : 5점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2호◎ 지정(등록)일 : 2017.07.19◎초상별 크 기 송시열: 가로 33cm, 세로 55cm 제갈무후: 가로 24cm, 세로 34cm 공자: 가로 12cm, 세로 29 cm 주자: 가로 15.5cm, 세로 26cm 기자: 가로 14cm, 세로 27.5cm 동아대 명현초상 일괄은 성현(聖賢)을 그린 공자 초상(孔子肖像) 1점과 그의 제자, 주자 초상(朱子肖像) 1점을 비롯하여 기자 초상(箕子肖像) 1 거제부도 /bbs/museum/1676/102189/artclView.do 2021-05-07 11:45:43.35 suesue ▣ 거제부도 ◎ 수 량 : 1점(8폭)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5호◎ 지정(등록)일 : 2014.01.22 이 작품은 19세기에 제작된 군현지도로 거제도를 중심으로 주변 군현을 8폭의 병풍에 담은 지도와 풍속화가 결합되는 형태의 회화식 지도이다. 수리한 흔적은 없으며,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제1폭에 대마도계(對馬島界), 제7폭에 웅천계(熊川界), 통영계(統營界), 제8폭에 창원계(昌原界)를 담고, 화면의 중앙격인 4폭과 5폭에는 거제도의 중앙 관청을 그렸다. 사방에서 중앙 관청으로 이르는 길을 진주성도 /bbs/museum/1676/102187/artclView.do 2021-05-07 11:40:36.413 suesue ▣ 진주성도 ◎ 수 량 : 1점(10폭) ◎ 크 기 : 세로 134cm, 가로 40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4호◎ 지정(등록)일 : 2013.10.23 진주성도 는 조선시대 번화한 도회이자 임진왜란 때의 충절의 고장으로 유명했던 진주성과 그 주변의 주요 건물과 시설, 그리고 남강 등의 자연 경관이 부감시의 방법으로 자세하게 묘사되어 있는 총 10폭의 병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에는 18세기에 크게 유행했던 진경산수화풍이 매우 형식화된 모습으로 적용되어 있는데, 이러한 특 전 경주 출토 승사리구 /bbs/museum/1676/102186/artclView.do 2021-05-07 11:36:26.813 suesue ▣ 전 경주 출토 승사리구 ◎ 수 량 : 3점 ◎ 크 기 : 높이 11.3cm, 입지름 9.7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4호◎ 지정(등록)일 : 2012.10.30 이 사리장엄구는 1967년 경상북도 경주시 율동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사리장엄구의 가장 바깥쪽 용기는 청동으로 만든 원통형 합이며, 그 안에는 보주형의 꼭지가 달린 뚜껑이 있는 유제(鍮製) 합이 봉안되어 있고, 내합 안에는 수정으로 만든 작은 병 모양의 용기가 봉안되어 있었는데, 사리는 수정으로 만든 병 모양 용기 계사명 사리구 /bbs/museum/1676/102185/artclView.do 2021-05-07 11:31:51.887 suesue ▣ 계사명 사리구 ◎ 수 량 : 4점 ◎ 크 기 : 백자합 - 높이 13.8cm, 입지름 14cm 놋합1 - 높이 6.5cm, 입지름 12.8cm 놋합2 - 높이 4.7cm, 입지름 10.2cm 놋합3 - 높이 6.5cm, 입지름 2.6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3호◎ 지정(등록)일 : 2012.10.30 계사명 사리구는 승려의 묘탑에서 나온 것으로 보이는 사리구 일괄로 총 4개의 용기로 구성된 조선후기의 유 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 /bbs/museum/1676/102183/artclView.do 2021-05-07 11:20:54.297 suesue ▣ 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 ◎ 수 량 : 1점 ◎ 크 기 : 높이 23cm, 가로 49cm, 세로 21.7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2호◎ 지정(등록)일 : 2012.10.30 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은 동(銅)을 주조해서 접합하여 만든 4각 탁자로, 천판(天板) 윗면에 고려시대의『대방광불화엄경』변상도(變相圖)를 새긴 독특한 금속제 기물(器物)이다.전체적인 형태는 4각의 낮은 호족반(虎足盤) 형상과 비슷하며, 천판과 운각, 4개의 동물 모양 다리, 그리고 양쪽 다리를 연결하는 족대 등 시왕도 /bbs/museum/1676/102182/artclView.do 2021-05-07 11:12:36.557 suesue ▣ 시왕도 ◎ 수 량 : 2폭◎ 크 기 : 가로 126.5cm, 세로 155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1호◎ 지정(등록)일 : 2012.10.30 시왕도는 죽은 사람의 죄를 심판하는 10명의 왕을 그린 불화인데, 이 시왕도 10폭 중에서 망자의 몸에 못을 찍는 정신지옥(釘身地獄)을 묘사한 제1진광대왕도와 추장지옥(抽腸地獄)을 묘사한 제2초강대왕도 등 2점이다. 2점 모두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이 시왕도는 채색한 구름으로 상단과 하단의 경계를 짓고, 상단 중앙에 의자에 석조관음보살좌상 /bbs/museum/1676/102176/artclView.do 2021-05-07 10:53:43.45 suesue ▣ 석조관음보살좌상 (石造觀音菩薩坐像) ◎ 수 량 : 1구 ◎ 크 기 : 높이 37cm, 어깨 너비 14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9호◎ 지정(등록)일 : 2012.10.30 석조관음보살좌상은 부드러운 재질의 석재로 제작한 것으로 보이며, 팔꿈치 양측, 군의 등에 호분과 같은 백색의 안료가 남아 있고, 부분적으로 검은색의 칠과 금빛이 확인되어 원래는 도금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바닥 면 중앙에는 복장공이 노출되어 있는데, 복장유물은 남아 있지 않다.오른손을 왼손 위에 얹은 갑인춘 친정도(甲寅春 親政圖) /bbs/museum/1676/53150/artclView.do 2018-05-18 15:22:53.213 yoojin95 갑인춘 친정도(甲寅春 親政圖) ◎ 시 대 : 조선(1734년) ◎ 크 기 : 44.5×29.2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103호 이 작품은 1734년 2월 9일 영조가 희정당(熙政堂)에 나가 친정(親政)한 것을 기념하여 도화서 화원에 의해 기록화 형식으로 제작된 8절면 화첩 형식으로 세필로 직접 그려졌을 뿐 아니라 건물의 배치와 묘사가 정연하고 안정되어 도화서화원의 지극히 섬세한 계화(界畵)의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 작품에 기록된 영조의 친정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과 일치할 뿐 아니라 제 분청사기인화국화문사이부태호(粉靑沙器印花菊花文四耳附胎壺) /bbs/museum/1676/53146/artclView.do 2018-05-18 15:21:19.48 yoojin95 분청사기인화국화문사이부태호(粉靑沙器印花菊花文四耳附胎壺) ◎ 시 대 : 조선 ◎ 재 질 : 자기 ◎ 크 기 : 외호 높이 38.9cm, 내호 높이 27.0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102호 이 분청사기인화국화문사이부태호는 기형과 인화기법으로 볼 때 조선 초기인 15세기에 충청도 지역에서 생산되던 분청사기로 추정된다. 태호 중 국보 제177호로 지정된 분청사기인화문태호 내외호 (粉靑沙器印花文胎壺 內外壺 )의 풍만한 항아리 모양의 외호와 홀쭉한 내호의 전체적인 형태와 동체 표면에 시 흑유호 및 흑유정병(黑釉壺 및 黑釉淨甁) /bbs/museum/1676/53139/artclView.do 2018-05-18 15:18:17.24 yoojin95 흑유호 및 흑유정병(黑釉壺 및 黑釉淨甁) ◎ 시 대 : 고려 ◎ 재 질 : 자기 ◎ 크 기 : 호 높이 36.9cm, 정병 높이 27.7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101호 흑유호는 회청색의 청자 태토에 기벽을 두껍게 하여 성형한 후 기면의 안팎으로 흑유를 얇게 입힌 항아리로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뚜껑이 있는 항아리 형태로 성형한 후 몸체 부분을 4면 형태로 편평하게 다졌는데, 합각이 되는 곳은 능형처럼 곡을 잡은 형태이다. 또한 몸체 부분 한 면에 결가부좌하고 있는 인물상 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會圖) /bbs/museum/1676/53129/artclView.do 2018-05-18 15:14:41.617 yoojin95 남지기로회도(南池耆老會圖) ◎ 시 대 : 조선(1629년) ◎ 크 기 : 115.5x71.2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75호 남지기로회도는 인조 7년(1629년) 6월 5일 숭례문 밖 관지(官池 )근처에 있는 홍첨추(洪僉樞)의 집에 모여 연꽃을 감상하는 70세 이상 된 기로(耆老)들의 모임을 그린 계회도이다. 화면의 구성은 전서체(篆書體)로 꾸며진 제목(題目), 기로회 장면을 묘사한 그림부분, 그리고 장유(張維, 1587-1638)의 제문(題文), 참석자의 좌목(座目), 화면 좌우에 쓰 대방광불화엄경제사십일(大方廣佛華嚴經第四十一) /bbs/museum/1676/53126/artclView.do 2018-05-18 15:11:44.54 yoojin95 대방광불화엄경제사십일(大方廣佛華嚴經第四十一) ◎ 시 대 : 고려후기 ◎ 재 질 : 감지에 은니 ◎ 크 기 : 23.2x465.5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83호 이 사경은 감색 저지(楮紙)에 은니(銀泥)로 쓴 두루마리 형식의 화엄경 사경으로 우리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소조보살좌상의 복장유물이다. 사경은 권수(卷首) 부분이 결실되어 사성기(寫成記)가 없어 사성연도를 알 수 없다. 주목되는 것은 경기도 안성 청원사(淸源寺)의 본존불에서 복장유물로 나온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감지 대방광불화엄경 제사십(大方廣佛華嚴經第四十) /bbs/museum/1676/53125/artclView.do 2018-05-18 15:10:01.38 yoojin95 대방광불화엄경 제사십(大方廣佛華嚴經第四十) ◎ 시 대 : 고려 14세기 중엽 / 조선(1728년) ◎ 재 질 : 감지에 금은니 ◎ 크 기 : 절첩 1면 27.0x11.2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화재 제64호 이 사경은 1절면 6행 17자로 이루어진 총 68절면의 사경이며 1첩의 절첩본(折帖本) 형식으로 보존 상태는 양호하다. 앞의 32절면은 감지에 은니(銀泥)로 쓴 사경이지만, 뒷부분 36절면은 감지에 금니(金泥)로 사성되어 있다. 즉 앞 시대에 감지에 은니로 제작된 후 뒷부분이 없 동래고지도(東萊古地圖) /bbs/museum/1676/53116/artclView.do 2018-05-18 15:06:20.017 yoojin95 동래고지도(東萊古地圖) ◎ 시 대 : 조선(19세기) ◎ 크 기 : 132.5x78.5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59호 본 지도는 전반적으로 산과 하천, 성곽과 관아, 방파제와 선박 등이 매우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어 당시의 부산지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전형적인 회화식 지도로서, 조감도의 시점을 이용하여 지역 전체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단부의 육지와 하단부의 바다를 대각선으로 구획한 화면 구성은 부산의 특징을 잘 살리고 있다. 또한 본 지도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분과 진재 김윤겸필 영남기행화첩(眞宰 金允謙筆 嶺南紀行畵帖) /bbs/museum/1676/53110/artclView.do 2018-05-18 15:03:44.483 yoojin95 진재 김윤겸필 영남기행화첩(眞宰 金允謙筆 嶺南紀行畵帖) ◎ 시 대 : 조선 ◎ 크 기 : 35.5x54.0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56호 진재 김윤겸은 일가를 이룬 문안화가로서 진경산수라는 입장에서 정선파로 분류되기도 하나, 정선과는 다른 화풍을 보여주는 화가이다. 문인화가이지 만사의(寫意)에 머무르지 않고 실경에 대한 감동을 사실적으로 재현해 낸 사실적 진경산수화가로 평가될 수 있다. 이 화첩은 영남지방의 명승지를 그린 몇 안되는 작품 가운데 하나로 영남지방의 옛 실경을 확인하는 기영각시첩(耆英閣詩帖) /bbs/museum/1676/53096/artclView.do 2018-05-18 14:55:50.32 yoojin95 기영각시첩(耆英閣詩帖) ◎ 시 대 : 조선(1763년) ◎ 크 기 : 35.0x45.0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57호 본 작품은 영조 40년(1763년) 1월 1일 영조가 자신의 나이가 70세가 됨과 재위 40년이 됨을 기념하여 태묘를 배알하고 기로소(耆老所)를 방문한 것 을 제작한 것이다. 서(序)와 그림, 어제시구(御製詩句), 기로신(耆老臣)들과 4자운의 연시, 오언고시, 좌목(座目) 등으로 구성된 총 40면에 이르는 시첩이다. 시는 형식적이나마 당시 명망 관료를 망라하고 있으며 금강전도 12곡병(金剛全圖 12曲屛) /bbs/museum/1676/53086/artclView.do 2018-05-18 14:51:29.413 yoojin95 금강전도 12곡병(金剛全圖 12曲屛) ◎ 시 대 : 조선(19세기) ◎ 재 질 : 종이에 채색 ◎ 크 기 : 12폭 병풍. 각 폭 131.5x29.2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58호 이 병풍은 금강산에 대한 상세한 지리 표현과 화려한 색채 효과로 그림지도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장삭화로서 제작된 지본담채의 12폭 병풍으로 민화채를 많이 원용하고 있다. 현재 금강전도는 정선의 금강전도(국보 제217호)를 비롯하여 김윤겸작 봉래권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재관작 총석정(서울대박 대원군 초상화(大院君 肖像畵) /bbs/museum/1676/53073/artclView.do 2018-05-18 14:47:07.723 yoojin95 대원군 초상화(大院君 肖像畵) ◎ 시 대 : 조선◎ 크 기 : 81.3x41.5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60호 본 초상화의 화면을 꽉 채운 노구의 대원군은 좌안 8분면이며, 몸을 약간 왼쪽으로 튼 채 손에는 짙은 자주색 함을 공손히 받들고 이는 전신상이다. 현재 대원군 초상화는 이 작품을 비롯해 총 4점이 남아 있는데 이 작품이 가장 늦게 제작된 대원군의 노년상이며, 복식 또한 우리나라의 조복(朝服) 형태가 아닌 이국적인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아울러 이 작품 삼층석탑(三層石塔) /bbs/museum/1676/53031/artclView.do 2018-05-18 14:30:43.177 yoojin95 삼층석탑(三層石塔) ◎ 시 대 : 여말선초◎ 재 질 : 돌◎ 크 기 : 높이 315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지정 유형문화재 제 10호 이 탑은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상촌리의 폐사지에 있었던 것을 1960년도 이전 복원한 것으로 고려말이나 조선초에 제작된 것 으로 추정된다.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고, 기단 하대석 부분은 이전시 새로 만든 것이다. 기단 중석과 옥신석은 귀기둥 외에는 별다른 조각이 없이 간결하게 처리되었고, 옥개석은 3단의 옥개석 받침과 1단의 옥신괴임이 조각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