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S 게시판 2.0 수영야류 탈 /bbs/museum/1677/102220/artclView.do 2021-05-07 15:13:40.98 suesue ▣ 수영야류 탈 ◎ 수 량 : 16점 ◎ 크 기 : 수양반 : 54.7x28 / 차양반 : 27x26.5 / 셋째양반 : 51x29.1 / 넷째양반 : 34x24.5 / 종가도령 : 22.2x25.2 / 말뚝이 35.1x36.1 / 영노 : 35.2x26.7 / 할미 : 27x31 / 제대각시 : 29.8x26.9 / 사자 : 56x49.5 / 범(담비) : 30.3x52.5 / 수양반의 관모 : 21x18.5 / 말뚝이의 패랭이 : 19.1x41.2 / 차양반의 털모자 : 17x24 / 셋째양반의 정 광포도 /bbs/museum/1677/102219/artclView.do 2021-05-07 15:08:45.86 suesue ▣ 광포도 ◎ 수 량 : 1점◎ 크 기 : 가로 36cm, 세로 114cm◎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3호◎ 지정(등록)일 : 2014.01.22 광포는 함경남도 정평군과 함주군 사이에 있는 석호(潟湖)로 함경남도의 이름난 명승지로 알려진 곳이다. 1980년 1월 북한 천연기념물 제268호로 지정되었다. 해안의 융기와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석호로 동해안의 석호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며, 광포강·다호천·봉대천 등 60여 개의 크고 작은 하천들이 흘러들며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이 작품은 전 이순신 초상(傳 李舜臣 肖像) /bbs/museum/1677/53184/artclView.do 2018-05-18 15:35:42.22 yoojin95 전 이순신 초상(傳 李舜臣 肖像) ◎ 시 대 : 조선후기∼말기 ◎ 크 기 : 28.0x22.0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6호 이 작품은 이순신의 초상이라고 전해지는 작품으로 화면 상단 향우측에 해서체로 ‘충무공이순신상(忠武公李舜臣像)’이란 화제가 적혀 있다. 채색이 일부 박락된 상태이나 보존 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바탕의 소격상태, 화면의 인물구도 및 표현방식, 필치, 채색 상태 등을 고려할 때 조선 후기∼말기에 제작된 초상화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현재까지 남아 있는 이순신 관련 마문장경호(馬文長頸壺) /bbs/museum/1677/53181/artclView.do 2018-05-18 15:34:12.507 yoojin95 마문장경호(馬文長頸壺) ◎ 시 대 : 삼국 ◎ 크 기 : 높이 34.4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5호 말 그림이 새겨져 있는 이 굽항아리는 구형 동체에 7개의 장방형 투창(透窓)이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대각과 돌대에 의해 3단으로 구획된 구경으로 이루어졌다. 토기 표면 색상은 회청색이고, 동체의 어깨 부분에 모두 5마리의 말그림(馬文)이 그려져 있다. 말 그림은 소략하나 움직임을 표현하였으며, 말의 다리는 4개가 아닌 2개로 표현하였다. 전체적인 형태와 문양 내용 등으로 볼 때 5세기 쌍구장경호(雙口長頸壺) /bbs/museum/1677/53172/artclView.do 2018-05-18 15:31:59.903 yoojin95 쌍구장경호(雙口長頸壺) ◎ 시 대 : 삼국 ◎ 크 기 : 높이 54.4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54호 이 토기는 쌍구의 삼국시대 경질토기로 보존상태는 매우 양호하다. 중앙에 중심 아가리가 있고, 한쪽 어깨 면에 보조 아가리가 있다. 바닥이 둥글고 몸통은 원형이며, 주 아가리의 목이 길고 뚜껑받이 턱이 있는 원저장경호이다. 이 쌍구장경호는 보조 아가리가 있는 점이 매우 특이하고, 현재까지 유적에서 출토된 예는 알려져 있지 않다. 가야 토기의 양상을 해명할 수 있는 자료이다. 2개의 아가리가 미인도 (美人圖) /bbs/museum/1677/53170/artclView.do 2018-05-18 15:30:34.447 yoojin95 미인도(美人圖) ◎ 시 대 : 한말 ◎ 크 기 : 129.5x52.2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2호 여인의 입상으로 원래는 족자였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는 액자로 표구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본 작품은 19세기 신윤복 미인도의 전통과 연결되어 있는 전형적인 선묘 위주의 초상화로, 조선중기 이후 제작된 미인도의 계통으로 볼 때 조선말기 미인도로는 가장 수작에 해당되며 조선말기 복식사 연구 및 초상화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또한 당대 초상화 계통을 풍미한 석지 채용신의 작 변관식필 영도교 (卞寬植筆 影島橋) /bbs/museum/1677/53165/artclView.do 2018-05-18 15:28:29.203 yoojin95 변관식필 영도교(卞寬植筆 影島橋) ◎ 시 대 : 1948년 ◎ 크 기 : 137.0×33.5cm ◎ 지정구분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8호 변관식은 남북종의 절충화폭과 서구식 기법이 가미된 일본의 신남화풍 등으로 거친 화면 처리와 시선의 다각적인 전개로 독자적 경지를 이룬 화가이다. 영도교는 부산 지역의 실경사생과 그의 작가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변관식의 중기 작품이다. 본 작품은 1948년 당시 부산의 근대화적인 풍물 중 근대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부산의 영도다리를 보고 그린 실경산수화로서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