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본 동아
-
[문화예술비평지/칼럼] 명량과 팽목-진도의 양면 - 정봉석 문예창장학과 교수
2014.10.27 조회수 1237
[부산문화재단 문화예술비평지 / 칼럼] 명량과 팽목- 진도의 양면정봉석 문예창작학과 교수
-
[서울신문/기고] 성수대교 붕괴 20년, 안전도시 가능한가 - 이동규 석당인재학부 교수
2014.10.20 조회수 1512
[서울신문/기고] 성수대교 붕괴 20년, 안전도시 가능한가- 이동규 석당인재학부 교수 이동규석당인재학부 교수1994년 10월 21일 아침 서울 성수대교가 붕괴됐다. 교각 중 일부 상판 트러스 약 50m 정도가 내려앉아 인명피해로 이어졌던 사고다. 사고 직후 서울시에서 대책본부를 가동해 원인을 조사했지만 당시 교량 안전검사 및 안전진단에 대한 전문가가 부족해 붕괴 원인을 찾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조사 결과 주요 원인은 교량 설계 시 설계하중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시공 단계에서 부실한 공사와 감독이 만연했으며, 성능개선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1995년 고베대지진이 발생해 6400여명이 목숨을 잃었고, 1400억 달러의 피해가 발...
-
[김덕규 교수의 바이블 생명학] 기름은 하나님의 것 - 김덕규 의과대학 의학과 내과학교실 교수
2014.10.20 조회수 1336
[김덕규 교수의 바이블 생명학] 기름은 하나님의 것- 김덕규 의과대학 의학과 내과학교실 교수 김덕규의과대학 의학과내과학교실 교수49세 최창남(가명) 씨는 당뇨병 환자이다. 고혈압과 고지혈증을 동반하고 있고 허리둘레가 95㎝나 된다. 대사증후군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다 가지고 있기에 그는 대사증후군 환자라고도 할 수 있다. 대사증후군이 문제가 되는 것은 뇌졸중, 심근경색증 같은 심혈관 합병증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지방간, 관절염, 담석증 같은 다른 질환을 잘 동반하기에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준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복부비만이다. 복부비만은 복강 내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으로 허리둘레가 남자의 경우 9...
-
[부산MBC 시사포커스] 부산시장이 말하는 부산현안! 어디까지 왔나? - 황기식 (동아대학교 비서실장/국제전문대학원 교수) 외
2014.10.17 조회수 1223
[부산MBC시사포커스]부산시장이 말하는 부산현안! 어디까지 왔나?1. 기획의도7월 1일! 서병수 부산시장의 민선 6기가 공식 출범했다. 취임사를 통해 서 시장이 밝힌 4년 시정의 핵심은 “위대한 부산의 새 시대”였다.그리고 미래 시장의 모습을 제시했는데, ➀‘일자리 시장’ ➁‘따뜻한 시장’ ➂‘안전시장’ ④‘미래시장’ ⑤‘혁신시장’이다. 이는 6*4지방선거 기간, 서 시장이 주장한 공약을 함축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취임 100여일이 지난 지금!서 시장의 정책 행보를 되짚어 보고, 공약 이행 상황과 석 달여 ...
-
[울산매일/오피니언] 울산 대왕암, 역사와 전설의 스토리텔링 - 정은우 석당박물관장
2014.10.16 조회수 1966
[울산매일/오피니언] 울산 대왕암, 역사와 전설의 스토리텔링- 정은우 석당박물관장 정은우석당박물관장며칠전 태양-지구-달 순으로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 개기월식을 볼 수 있었다. 이를 지켜보자니 얼마 전 다녀 온 울산 대왕암과 울기등대 체험관에서 보았던 애니메이션이 생각난다. 현재 이곳에는 4D입체영화관이 있고 울기등대와 대왕암을 소재로 만든 스토리텔링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상영하고 있다. 즉 대왕암 주위 바다위에 떠 있는 세 개의 섬, 즉 민섬(또는 미인섬)과 생김새가 거북과 같다 하여 거북바위, 망망대해를 바라보며 누군가를 기다린다는 형상에서 붙여진 할미바위 등을 소재로 선녀민, 근위대장, 서궁장수라는 캐릭터를 설정해 만든 것이다. 사랑에 빠져 ...
-
[울산매일/오피니언] 울산 대왕암, 역사와 전설의 스토리텔링 - 정은우 석당박물관장
2014.10.16 조회수 134
[울산매일/오피니언] 울산 대왕암, 역사와 전설의 스토리텔링- 정은우 석당박물관장 정은우석당박물관장며칠전 태양-지구-달 순으로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 개기월식을 볼 수 있었다. 이를 지켜보자니 얼마 전 다녀 온 울산 대왕암과 울기등대 체험관에서 보았던 애니메이션이 생각난다. 현재 이곳에는 4D입체영화관이 있고 울기등대와 대왕암을 소재로 만든 스토리텔링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상영하고 있다. 즉 대왕암 주위 바다위에 떠 있는 세 개의 섬, 즉 민섬(또는 미인섬)과 생김새가 거북과 같다 하여 거북바위, 망망대해를 바라보며 누군가를 기다린다는 형상에서 붙여진 할미바위 등을 소재로 선녀민, 근위대장, 서궁장수라는 캐릭터를 설정해 만든 것이다. 사랑에 빠져 ...
-
[김해뉴스/기고] 568돌 한글날을 맞이하며 - 하치근 한글학회 이사·동아대 명예교수
2014.10.16 조회수 1382
[김해뉴스/기고] 568돌 한글날을 맞이하며- 하치근 한글학회 이사·동아대 명예교수 하치근한글학회 이사·동아대 명예교수우리가 쓰는 말과 글은 우리에게 외부적인 이해의 세계를 구성하고 내면적인 정신세계를 이룩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윤리적인 실체를 창조하는 힘이 있다. 따라서 모든 언어에는 한 겨레의 문화적인 전통 속에서 자라난 얼이 담겨 있다. 일제시대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에서는 이와 같은 언어관의 바탕 위에서 조국의 자주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하여 한글 강습회를 열고 우리말과 글의 교육에 전념하였다. 언어 습득은 어린이에게 하나의 정신적인 세계에 대한 문을 열어주는 중요한 과정이다. 언어 습득을 통해서 사람들은 자기 삶의 세계 안에서 스스로의 올...
-
[서울신문/오피니언] 지자체 조직구성에 대한 규제 개혁을 기대하며 - 최우용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14.10.14 조회수 1332
[서울신문/오피니언] 지자체 조직구성에 대한 규제 개혁을 기대하며- 최우용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최우용법학전문대학원 교수규제개혁이 초미의 관심사다. 규제의 거대한 암반은 경제 분야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방자치의 현실에도 존재한다. 지자체가 규제개혁국(局)이나 규제개혁본부(本部)를 두고 규제개혁에 전력 질주하려고 해도, 현재는 국이나 본부를 자율적으로 만들 수 없다. 안전행정부와 상의한 뒤 필요성이 충분히 인정돼야 꾸릴 수 있다. 바로 지방자치법과 대통령령인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구와 정원 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위 법령’이라 한다)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조직과 인력에 관한 사항을 깨알같이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지...
-
[부산일보/문화칼럼] 영조 & 겸재 - 박은경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2014.10.14 조회수 1435
[부산일보/문화칼럼] 영조 & 겸재 - 박은경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박은경고고미술사학과 교수'해바라기'의 화가 빈센트 반 고흐, 황소를 즐겨 그렸던 화가 이중섭. 고흐가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화가라면, 이중섭은 국내에서 가장 대중의 사랑을 받는 화가임에 틀림없다. 이 두 사람은 너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화가라는 공통점이 있다. 그래서일까. 흔히 예술가라 하면 빈곤 속에 허덕이며 예술혼을 불태우다 스러져 가는 모습이 떠오른다. 마치 그래야만 불후의 명작이 탄생할 것만 같다. 하지만 이것은 통속소설이 그려낸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 사람은 누구나 부귀와 영화를 꿈꾼다. 그러면서도 예술가들의 삶은 불행할수록 고고하다는 설정은 너무나 가혹한 주문이다. 당쟁 속에서 태어나 탕평을 ...
-
[국제신문[세상읽기] 민선 6기 '프롤로그 100일'에 생각한다 - 황기식(비서실장/ 국제대학원 국재중재학과 교수)
2014.10.07 조회수 1404
[국제신문[세상읽기] 민선 6기 '프롤로그 100일'에 생각한다 - 황기식(비서실장/ 국제대학원 국재중재학과 교수) 황기식비서실장, 국제대학원국재중재학과 교수전 국민의 관심을 모았던 지난 6·4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각 기초단체장들이 7월 1일 취임한 이후 100일을 맞았다. 지난 선거 때 부산시 또한 과열경쟁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당시 현직 시장이 3선으로 임기가 끝나게 되면서 차기 시장에 대한 치열한 경쟁이 진행되었던 터다. 전례 없이 달아오른 선거 후, 민선 6기 부산시장으로 선출된 서병수 시장은 산뜻한 취임식으로 시민의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시청사 뒤편 녹음광장에서 개최된 취임식은 권위를 내려놓고 자유롭고 개방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지방자치 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