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본 동아
-
동아대 문창과 함정임 교수『파티의 기술』발간
2013.07.03 조회수 2416
동아대 문창과 함정임 교수『파티의 기술』발간동아대 문예창작학과 함정임 교수와 『파티의 기술』 표지사진.일상・여행・예술로 구성된 여행에세이동아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함정임 교수가『파티의 기술』(봄아필․1만6천원)을 출간했다.소설가로 활동 중인 함 교수가 우리나라는 물론 프랑스 파리와 독일 베를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미국 뉴욕 등을 다니면서, 사유한 모든 것을 여행 에세이 형태의 책으로 담아냈다.『파티의 기술』은 총 3부(일상․여행․예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음과 마음이 만나 공명하는 아름다운 순간을 섬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함 교수는 책을 통해 공명은 아름다운 것이고, 아름다움만이 인간 세상을 구할 수 있다고...
-
동아대 국문과 권명아 교수『음란과 혁명』출간
2013.07.02 조회수 2646
동아대 국문과 권명아 교수『음란과 혁명』출간『음란과 혁명』을 펴낸 동아대 국문과 권명아 교수와 책 표지 사진.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에 대해 말하다동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권명아 교수가 『음란과 혁명』(책세상․2만3천원)이라는 저서를 출간했다.이 책은 부적절한 정념이 어떻게 정치적 열정이 되었는지, 풍기문란한 자들이 어떻게 역사에 균열을 일으켰는지에 대해 말하고 있다.권 교수는 책을 통해 풍기문란 연구가 통속적으로 이해되는 음란물이나 성적 문화 생산물에 대한 통제의 역사를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된 정념이 정치적 열정으로 이행하는 역사적 맥락을 추적하는 작업임을 분명히 밝힌다.권 교수가 펴낸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
-
[울산매일 / 기고] 대학 취업률 산정방식 이대로 좋은가?
2013.06.26 조회수 2640
[울산매일 / 기고] 대학 취업률 산정방식 이대로 좋은가?황규홍동아대 대외협력처장대학의 구조조정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과거 MB 정부에서는 전국의 대학을 여러 분야의 지표로 상대평가해 하위권 대학에게는 정부의 재정지원을 제한했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은 현 정부에서도 그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 평가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대학의 취업률을 둘러싼 공방이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지표를 통한 대학 평가와 관련해서도 개선의 목소리가 높다. 기존의 취업률 산정방식과 현 대학 평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먼저 이들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개선책에 대해서 생각해보자.취업률은 당해 연도 취업대상자 중 취업통계 기준일인 6월 1일자로 건강보험 DB에...
-
[매일경제 / 기고] 朴대통령 `제2의 닉슨외교` 펼쳐라
2013.06.26 조회수 3487
[매일경제 / 기고] 朴대통령 `제2의 닉슨외교` 펼쳐라정종욱 석좌교수미국 역사상 가장 훌륭한 업적을 남긴 대통령 3명은 누구일까. 필자는 링컨, 트루먼, 닉슨을 꼽고 싶다. 링컨은 노예를 해방시켜 남북으로 분단됐던 미국을 진정한 합중국으로 만든 최초의 통합 대통령이다. 트루먼은 원자탄 두 방으로 일본을 굴복시키고 미국이 참전한 최초의 세계 대전을 승리로 마무리했다. 닉슨은 철의 장막에 갇혀 있던 중국을 밖으로 끌어냄으로써 동서 냉전 시대를 마감하고 미국을 초강대국으로 만드는 기초를 닦았다.세 사람이 제각각 다른 시기에, 다른 의미의 역사를 만들었지만 "새로운 판을 짰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 중국을 국빈 방문하는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우리 국민은 닉슨...
-
성세환 동아대 동문, BS금융지주 회장 내정
2013.06.25 조회수 6528
성세환 동아대 동문, BS금융지주 회장 내정 동아대학교 성세환(사진) 동아대 동문이 BS금융지주 신임 회장에 내정됐다. 1979년 동아대 경제학과(72학번)를 졸업한 성 동문은 1979년 1월 부산은행에 입행해 영업점장, 지역본부장, 부행장보, 부행장과 지주회사 부사장을 역임하고 지난해 3월부터 부산은행 은행장으로 재직 중이다. 오는 8월 중순에 열리는 임시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최종 선임되며, BS금융지주 회장과 부산은행 은행장을 겸직할 것으로 보인다.- 게시요청자 : 홍보팀장 조해훈
-
동아대 최홍규 교수 논문 『MPMI』저널 6월호 게재
2013.06.24 조회수 2501
동아대 최홍규 교수 논문 『MPMI』저널 6월호 게재DNA 칩 사용, 병과 건조 스트레스 상관관계 규명*사진 왼쪽 - 동아대 유전공학과 최홍규 교수*사진 오른쪽 - 『MPMI』 사이트에 게재된 최홍규 교수 논문평동아대학교 유전공학과 최홍규 교수의 연구논문이 최근 식물병리분야 최고 수준인 『MPMI』(Molecular Plant-Microbe Interaction, IF: 4.431)’ 국제저널 6월호에 심사자가 뽑은 주요논문(논문제목: 포도의 피어스 역병에 미치는 건조스트레스의 영향 Water deficit modulates the response of Vitis vinifera to the Pierce’s disease pathogen Xylella...
-
[옴부즈맨 칼럼] 칼럼은 신문의 꽃 - 이국환 문예창작학과 교수
2013.06.19 조회수 2322
[옴부즈맨 칼럼] 칼럼은 신문의 꽃지역 현안 짚어주는 내부 필진 칼럼 눈길,새겨 읽을 외부 기고 많아졌으면…이국환 문예창작학과 교수주요 신문사들이 오피니언 면을 강화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중반부터이다. 인터넷, 방송 등과의 속보 경쟁에 뒤처질 수밖에 없는 매체 성격상 신문은 차별화 전략으로 오피니언 면의 강화가 필요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증면 경쟁이 심화하면서 내·외부 필진을 활용한 신문의 오피니언 면은 다양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전략 콘텐츠로 중요성을 더해왔다. 하버마스가 '공론장의 가장 탁월한 제도'로 신문을 평가했듯이 신문은 전문가의 칼럼뿐만 아니라, 독자칼럼을 확대하고 독자위원회를 두는 등 시민에게 열려 있는 공간으로서의 ...
-
김경태 분자생명공학과 교수 논문, ‘New Phytologist’ 게재
2013.06.13 조회수 2996
김경태 분자생명공학과 교수 논문, ‘New Phytologist’ 게재 식물연구 분야 4대 저널 ‘New Phytologist’에 게재잎 생장촉진, 벼 낱알 크기 등 수확량 증진 큰 기대김경태 분자생명공학과 교수동아대학교 김경태(사진) 분자생명공학과 교수가 서울대 백남천 교수팀과 공동 연구한 논문이 식물연구 분야 4대 저널인 ‘뉴 파이톨로지스트’(journal of New Phytologist・논문인용지수 : 6.645)에 실렸다.논문 제목은 ‘벼의 분열조직 조절인자 OsWOX3A를 암호화하며 잎, 이삭, 분얼, 측근의 생장발달에 관여하는 NARROW LEAF2와 NARROW LEAF3...
-
남찬섭 동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SBS문화재단 해외연구지원 선정
2013.06.11 조회수 4890
남찬섭 동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SBS문화재단 해외연구지원 선정 남찬섭 사회복지학과 교수남찬섭(사진) 동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최근 SBS문화재단이 발표한 ‘2013년도 언론인ㆍ교수 해외연구지원자 명단’ 39명에 이름을 올렸다.SBS문화재단은 방송ㆍ언론ㆍ사회ㆍ문화ㆍ교육ㆍ학술 분야의 발전을 위해 매년 언론인 및 교수를 선정해 해외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SBS문화재단은 올해에는 언론인 10명, 미디어분야 교수 10명, 국가미래의제분야 교수 19명을 각각 선정했으며, 선정된 언론인에게는 1년간 월 2천700달러의 체재비 및 본인 왕복항공료와 1만 달러 이내의 학비를, 교수에게는 1년간 월 2천500달러의 체재비와 부부 왕복항공료를 지원한다.남찬섭 교수...
-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제압합니다 - 하형주 스포츠과학대학 교수
2013.06.09 조회수 384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제압합니다" 하형주 스포츠과학대학 교수이유종 기자 pen@donga.com※ 기사의 일부를 발췌한 내용입니다.하형주 동아대 경찰무도학과 교수는 1962년 경남 진주 출생으로 부산체고 유도부에서 처음 유도를 배웠다. 유도에 입문한 지 2년 만에 국가대표에 올랐고, 1981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아유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것을 시작으로 각종 국제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올림픽에선 유도 사상 첫 금메달을 땄다.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에서도 금메달을 얻었다. 하 교수는 모교인 동아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교직에는 선수생활을 마치기 전인 1987년부터 몸담았다. 그에게 배운 학생들만 6천 명이 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