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본 동아
-
[매일경제/인물] 中 거주 탈북여성은 '분단의 인질'같은 처지 - 탈북女 100명 인터뷰…책 출간한 라종억 이사장·강동완 교수
2017.12.29 조회수 1118
[매일경제/인물] 中 거주 탈북여성은 '분단의 인질'같은 처지- 탈북女 100명 인터뷰…책 출간한 라종억 이사장·강동완 교수강동완부산하나센터 교수 "1637년 병자호란 때 조선의 딸들이 청나라로 끌려갔다 몇년 후 조국으로 돌아왔지만 '환향녀(還鄕女)'란 이름으로 멸시를 당합니다. 40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북한에서는 똑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에 거주하는 탈북민 여성은 처벌이 두려워 북한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라종억 통일문화연구원 이사장) "병자호란 당시 조선의 여성들이 청나라의 인질로 끌려간 곳이 중국의 선양인데 현재 탈북여성이 주로 머무르는 곳도 선양입니다.병자호란 때 환향녀들이 '조선의 인질'이...
-
[부산일보/부일시론] 시민의 생생한 삶이 담긴 도시 - 김기수 건축학과 교수
2017.12.14 조회수 1006
[부산일보/부일시론] 시민의 생생한 삶이 담긴 도시- 김기수 건축학과 교수김기수건축학과 교수 부산의 열악한 주거 환경을 반영이라도 하듯, 2017년도 3분기에만 주거건축의 인허가 물량이 지난해보다 85% 늘어났고 면적도 132%나 증가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는 건설사들이 단순한 주거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나섰다기보다 지난달 사상 초유의 '강화된 분양권 전매(거래) 규정 전역 시행'에 앞서 재개발사업에 나선 결과로 보인다. 현재 지역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한 서부산권 개발 계획을 비롯해 쇠퇴한 원도심을 살린다는 취지 아래 부산시민공원~북항~도심을 잇는 도심재생 마스터플랜 등이 민간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고, 부산시와 공공기관들 역시 각종 개발 및 재개발사업에 앞다퉈 나서고 있...
-
[국제신문/인문학칼럼]‘대장부’가 아쉬운 시대 - 홍순권 사학과 교수
2017.12.14 조회수 1016
[국제신문/인문학칼럼]‘대장부’가 아쉬운 시대- 홍순권 사학과 교수홍순권사학과 교수 근래 한 일간지가 보도한 여론 조사 결과에 의하면, 문재인 정부가 공약으로 내세운 적폐 청산에 대해 국민 10명 중 7명이 ‘의혹을 철저히 밝히고, 불법이 있다면 처벌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에도 적폐 청산이 꼽혔다. 적폐 청산을 정치 보복이라고 생각하는 여론은 소수에 불과했다. 이를 놓고 보면 최근 고공행진 중인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도 사실상 적폐 청산에 대한 국민적 기대의 부응이 큰 몫을 한 것이라는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정권이 교체돼 새 정부가 들어서면 변화란 으레 따르는 것이고...
-
[부산일보/인문산책] 내가 너희를 놀게 하리라! - 김성언 한국어문학과 명예교수
2017.12.14 조회수 1043
[부산일보/인문산책] 내가 너희를 놀게 하리라!- 김성언 한국어문학과 명예교수김성언한국어문학과 명예교수 인간이라는 복잡 미묘한 동물들이 엮어 온 소위 역사라는 시간의 경과에는 그 갈피마다 매니페스토(manifesto), 즉 선언(宣言)이라는 말놀음이 소경 작대기처럼 끼어 있다. 혹 "사람의 모든 행위는 본질적으로 놀이다"라는 명제에 거부감을 가진 엄숙주의자들께서 놀음이라는 단어를 꺼리신다면 말폭탄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당대 정치나 사회의 꼬락서니에 맘이 아주 편치 못한 일군의 무리들, 한퇴지(韓退之)의 말을 빌리자면 이른바 불평인(弗平人), 허균 말대로라면 이른바 호민(豪民)들은 혼자 저주를 구시렁대다가 때가 무르익으면 "야, 이 호로자석들아!&...
-
[한겨레/시론] 촛불정신 외면한 예산안 여야합의 - 남찬섭 사회복지학과 교수
2017.12.12 조회수 1011
[한겨레/시론] 촛불정신 외면한 예산안 여야합의 - 남찬섭 사회복지학과 교수 남찬섭 사회복지학과 교수 국회 탄핵소추 1주년을 맞아 정치권은 촛불정신 운운하지만 이번에 여야가 예산 통과를 위해 합의한 내용은 그들이 촛불정신을 말할 자격이 없음을 보여준다. 아이 기르는 일에 대한 정부 지원을 누구는 받고 누구는 못 받고 하는 식으로 편가르기 하기가 촛불정신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등 3당 원내대표가 서명한 여야 합의문은 국민들에게 아무런 사전 양해도 없이...
-
[국제신문/세상읽기] 대열에서 벗어날 수는 없는가 - 전성욱 한국어문학과 교수
2017.12.12 조회수 959
[국제신문/세상읽기] 대열에서 벗어날 수는 없는가 - 전성욱 한국어문학과 교수 전성욱 한국어문학과 교수 롱패딩을 사려고 길게 줄을 선 사람들을 다룬 기사를 보니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저 대열의 익숙한 풍경이란 지금 우리가 사는 사회의 어떤 면면을 징후적으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긴 대열에 줄을 서게 만드는 유행의 압박이 어디 겨울의 패딩뿐이랴. 무리 속에 합류하지 못하는 것을 견딜 수 없게 만드는 심리의 강박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 줄을 세우는 문화는 이 나라에서 이미 오랜 연원을 갖고 있지만, 줄을 ...
-
[부산일보] 조재기 동아대 명예교수 '유도의 신' 반열에…
2017.12.08 조회수 1230
[부산일보] 조재기 동아대 명예교수 '유도의 신' 반열에…- 조재기 체육학과 명예교수▲ 지난달 대한유도회로부터 수여받은 '공인 9단' 단증을 들고 있는 조재기 동아대 명예교수. 부산에서 3번째로 '유도의 신(神)'이 탄생했다. 지난달 말 대한유도회 승단 심사에서 만장일치로 공인 9단을 수여받은 조재기 동아대 명예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부산 스포츠계에서는 지난 2012년 부산시유도회 안영환 심의위원 이후 5년 만의 경사다. 조 교수는 "올해로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 유도에서 동메달을 딴 지 정확히 41주년인데 이런 경사를 맞게 됐다"며 "동아대에 처음 입학해 낙법부터 손수 가르쳐주신 은사 정학균 선생이 떠오른다"며 ...
-
[국제신문] 첫 앨범 '짙은 회색' 발매 재즈보컬리스트 백흥선 - 백흥선 음악학과 교수
2017.12.08 조회수 1113
[국제신문] 첫 앨범 '짙은 회색' 발매 재즈보컬리스트 백흥선- 백흥선 음악학과 교수재즈보컬 백흥선 씨가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최근 1집 앨범을 발표한 백흥선은 지역 재즈 대중화를 위해 본격적인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전민철 기자 "프랑스 유학시절 소회, 친숙한 재즈에 담았어요"첫 앨범 '짙은 회색' 발매 재즈보컬리스트 백흥선 -블루스·보사노바·라틴 등 -한국어 가사로 쓴 6곡 수록 -동아대 조교수로 후배 양성 -"지역 재즈기반 다지고 싶다" 부산에서보기 드문 재즈음반이최근 나왔다. 표제곡 '짙은 회색'을 비롯해 블루스, 스윙, 보사노바,라틴등 한국인이 좋아하는 리듬과 재즈 선율을 바탕으로 한6곡이...
-
[국제신문] 동아대 노영훈 교수, 기차서 응급처치로 초등생 구해 - 폐쇄된 공간서 쓰러진 여아, 기도확보 후 인근 병원 인계
2017.12.06 조회수 1375
[국제신문] 동아대 노영훈 교수, 기차서 응급처치로 초등생 구해- 폐쇄된 공간서 쓰러진 여아, 기도확보 후 인근 병원 인계노영훈의과대학 의학과 의과학교실 교수 달리는 기차 안에서 자칫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었던 초등학생을 지역 대학병원 의사가 신속한 응급처치로 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주인공은 동아대병원 외과 노영훈(사진) 교수. 5일 병원에 따르면 노 교수는 지난달 30일 오후 5시께 서울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KTX 안에서 다급하게 의사를 찾는 승무원의 목소리를 들었다. 여자아이가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고 했다. 심각한 상황을 직감한 노 교수는 아이가 있는 151호 객차로 달려갔고, 어쩔 줄 몰라 하는 승객들 속으로 들어가 아이의 상태를 살펴봤다. 가족과 승객은 김밥...
-
[한겨레/세상읽기] 미사일과 애호박 - 권명아 한국어문학과 교수
2017.12.01 조회수 995
[한겨레/세상읽기] 미사일과 애호박 - 권명아 한국어문학과 교수 권명아 한국어문학과 교수 미사일과 애호박으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훗날 역사가들은 2017년의 미디어 담론을 보며 미사일과 애호박에 대해 의문을 품을 만하다. 1930년대 자료를 보며 비슷한 의문을 품은 적이 있다. 전쟁의 위기 속에서 왜 반찬 타령이며 여성(주부)의 생활 습성이 왜 문제인 것일까. 이런 질문을 던지고 답하는 일이 파시즘과 젠더 정치 연구의 핵심이다. 여성 혐오는 역사를 초월한 원초적 현상이라고 강조하는 논자도 많지만, 여성 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