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본 동아
-
[국제신문/인문학칼럼] 스트레스는 중력이다 - 이국환 한국어문학과 교수
2016.06.24 조회수 1263
[국제신문/인문학칼럼] 스트레스는 중력이다 - 이국환 한국어문학과 교수신체능력의 향상·손상, 긍정과 부정 양면효과순간 괴로움 회피보다 성장 디딤돌로 삼아야이국환한국어문학과 교수병아리처럼 노란 옷을 입고 빨간 가방을 멘 아이가 엄마 손을 잡고 가다 뿌리치며 소리친다. "나 완전 스트레스 받았어!" 아이는 엄마를 남겨두고 혼자 씩씩거리며 걸어가 버린다. 다섯 살쯤 되었을까.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외래어 1위가 '스트레스(stress)'라고 하지만, 그 용어를 아이가 일상에서 사용한다는 사실이 신기했다. 의학적으로 스트레스는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때 느끼는 심리적·신체적 긴장 상태를 의미하니 유아부터 노인까지 우리는 언제든 스...
-
[부산일보/인문산책] 검은 까마귀, 흰 까마귀 - 김성언 한국어문학과 교수
2016.06.22 조회수 2184
[부산일보/인문산책] 검은 까마귀, 흰 까마귀 - 김성언 한국어문학과 교수김성언한국어문학과교수우리 근대문학 초기 문인들은 대개 신문, 잡지사의 기자직을 겸업했다. 춘원 이광수는 동아일보 편집국장을 지냈으며 금동 김동인은 조선일보 학예부장을 거쳤다. 횡보 염상섭도 잡지 '동명' 기자 출신이다. 신문학 개척자이자 사회의 목탁으로서의 기개로 젊은 그들은 종로 바닥의 술판을 휘저으며 갖은 기행과 명정의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 이런 전통은 해방과 전후에도 이어져 선우휘나 이병주 같은 걸출한 작가 겸 기자를 배출했다. 전업 작가에 비해 작품의 수는 적지만 정치와 사회의 내면을 속속들이 볼 수 있었기에 그들이 놀린 붓질의 톤과 무게는 짙고 육중하다.기자 겸직 문인들 근대문학 개척김성한...
-
[아시아경제/뷰앤비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갈등의 내일 - 오동윤 경제학과 교수
2016.06.22 조회수 1091
[아시아경제/뷰앤비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갈등의 내일 - 오동윤 경제학과 교수오동윤경제학과 교수한국의 최대 현안은 불균형이다. 불균형은 이미 예견돼 있었다. 우리는 대기업 중심의 성장을 택했다. 그리고 성장했다. 효율적인 전략이었다. 그러는 사이 불균형은 커졌다. 불균형을 성장과 맞바꾼 것이다.성장할수록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불균형은 더 커졌다. 이러한 불균형은 들불처럼 여러 분야로 번졌다. 어디서 일하느냐에 따라 근로자의 불균형이 발생했다. 청년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도 이런 맥락이다. 중소기업 간의 불균형도 무시하기 어렵다. 그리고 경영자와 근로자의 불균형도 생겼다. 이러한 불균형은 결국 소득의 불균형으로 이어졌다.대기업과 중소기업 불균형의 골-갈등은 깊다. 경제성장이 둔...
-
[부산MBC/시사포커스] 동남권신공항 최적의 입지는? - 황기식(비서실장/국제전문대학원 교수)
2016.06.21 조회수 999
[부산MBC/시사포커스] 동남권신공항 최적의 입지는?- 황기식(비서실장/국제전문대학원 교수)2016.6.19.(일) 부산MBC 시사포커스[방송 보기 클릭]
-
[함정임의 세상풍경]잃어버린 마음을 찾아서 - 함정임 한국어문학과 교수
2016.06.15 조회수 1049
[함정임의 세상풍경]잃어버린 마음을 찾아서 - 함정임 한국어문학과 교수함정임한국머문학과 교수종강 시즌이다. 이번 학기 스무 살 어름의 문학도들과 소설의 다양한 형상을 점검하고, 그들 자신의 이야기를 한 편의 짧은 소설로 창작하는 시간을 가졌다.한국어문학과 학부 전공 수업이지만 한국어문학, 문예창작학, 국문학, 교육학, 철학생명윤리학, 사학, 경영학, 국제관광학까지 다채로운 전공 학생 50명이 참여했다.이론과 창작실습을 통합한 새로운 형태의 수업을 개설하며, 처음엔 이 많은 인원으로 소설 창작까지 도모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이 없지 않았다.그러나 딱딱하고 울퉁불퉁한 땅을 개간하는 농부의 심정으로 감행했다.사람마다 고유한 얼굴 생김새가 있고, 눈빛이 있고, 음색이 있고, 화법...
-
[한겨레신문/야! 한국사회] 여성 살해를 쓰다 - 권명아 한국어문학과 교수
2016.06.15 조회수 964
[한겨레신문/야! 한국사회] 여성 살해를 쓰다 - 권명아 한국어문학과 교수권명아한국어문학과 교수강남역 살인 사건은 자신을 생존자로 규정한 여성들의 추모 릴레이가 없었다면 그저 신문 사회면 귀퉁이를 장식한 기사로 남았을 것이다. 이 사건의 개념 규정에 대한 논란도 뜨겁다. 개념의 정확한 규정도 중요하지만, 혐오, 차별 선동, 죽음과 살해로 이어지는 소수자 차별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연구가 더 시급하다. 여성 혐오를 비롯한 소수자 혐오가 신자유주의적 현상이라고 하지만, 특정 사회의 차별 구조와 역사가 혐오의 구체성을 좌우한다. 일례로 오언 존스의 를 보면 영국 사회에서는 ‘차브 혐오’라는 하층 계급 혐오가 지배적이다. 또 일본의 경우 차별 선동을 주도하...
-
[박상흠 변호사의 법률 속 성경 이야기] 금지된 혼인 - 박상흠 법무·감사실 팀장
2016.06.15 조회수 943
[박상흠 변호사의 법률 속 성경 이야기] 금지된 혼인 - 박상흠 법무·감사실 팀장박상흠법무·감사실 팀장지난 5월 25일 서울서부지방법원은 남성 동성인들의 혼인신고 수리신청을 각하했다. 신청인들은 동성혼인을 금지하는 명시적 규정이 없는 점과 함께 행복추구권과 평등권 및 기본권최대보장의 원칙에 따라 동성혼인은 인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법원은 동성혼인 금지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첫째, 현행법상 혼인과 가족생활에 관한 규정은 남녀의 결합을 전제로 한 성구별적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은 혼인이 남녀 간의 결합인 점을 선언하고 있다. 셋째, 성적 자기결정권이 동성 간 성행위 및 공동체를 구성할 권리는 허용하나 동성배우자를 선택...
-
[서울신문/글로벌 시대] 대만 첫 여성 총통을 맞는 베이징의 고민 - 원동욱 중국·일본학부 교수
2016.06.08 조회수 1057
[서울신문/글로벌 시대] 대만 첫 여성 총통을 맞는 베이징의 고민 - 원동욱 중국·일본학부 교수원동욱중국·일본학부 교수중화권 첫 여성지도자인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의 취임식이 지난 5월 20일에 개최됐다. 그녀의 총통 취임식에서는 대만 독립과 민주화의 상징이기도 한 ‘메이리다오’(美麗島)가 1만명의 합창으로 울려 퍼졌다. ‘대만을 밝혀라’(点亮臺灣), 대선 기간 차이잉원 캠프에서 지속적으로 외친 구호다. 강력한 대만 민심에 의해 선출된 차이잉원 총통은 취임식 연설에서 중국이 강조하는 ‘92공식(共識)’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모호한 태도를 보였다. ‘92공식&rsq...
-
[한겨레신문/시론] 구조조정의 대안, 사회적 고용 - 강신준 경제학과 교수
2016.06.08 조회수 963
[한겨레신문/시론] 구조조정의 대안, 사회적 고용 - 강신준 경제학과 교수강신준경제학과 교수조선산업 구조조정이 점차 현실화하고 있는 와중에 지난 5월20일 울산에서 열린 한 토론회에 참석할 기회가 있었다. 정리해고가 진행되고 있는 현장에서 노동조합들이 주최한 자리여서 현장 노동자의 의견과 노동계의 대응방향을 짐작할 수 있는 자리였다. 드러난 의견은 크게 두 가지로 집약되었다. 하나는 경영진의 책임을 묻는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정리해고 반대투쟁을 조직한다는 것이었다. 얼핏 당연해 보이는 이들 의견을 보면서 나는 조선산업의 위기를 경고한 보고서가 나온 지 10여년이 지나도록 우리 노동운동이 우산을 준비하지 않은 까닭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었다. 그것은 우산이 무엇인지 몰랐...
-
[아시아경제/뷰앤비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갈등의 오늘 - 오동윤 경제학과 교수
2016.06.07 조회수 930
[아시아경제/뷰앤비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갈등의 오늘- 오동윤 경제학과 교수오동윤경제학과 교수한국경제는 '한강의 기적'을 만들었다. 그동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는 더 벌어졌다. 이 격차는 소득의 격차라는 근로자의 양극화로 이어졌다. 소득의 격차는 소비의 격차를 불러왔다. 상대적 박탈감은 더 커졌다. 어디서 일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졌다. 당연히 청년들은 중소기업 취업을 꺼린다. 나무랄 수 없다. 당연한 바람이다.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오늘은 대립의 연속이다. 세계경제와 한국경제의 침체는 이러한 대립을 부추겼다. 정치인들의 부추김은 더 거셌다. 동반성장과 경제민주화로 대립의 골은 깊어졌다. 게다가 20대 국회는 여소야대로 출발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거침 신음을 ...